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안 쓰고 산다 ③'자원순환사회연대' 편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4,668
등록일자
2019-05-16
자막
#자원순환연대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는 환경단체와 사회단체들이 모여서 한국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민 실천 교육, 모니터링 등의 활동을 많이 해왔습니다. 일하는게 바쁘고 공부하는게 바빠서 쓰레기 문제는 1순위가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체감할 정도로 가장 우선 처리해야 할 정부의 과제는 쓰레기 문제라고 할 만큼 시민들의 인식은 높아졌습니다. 제로웨이스트 말그대로 쓰레기를 만들지 말자는 거지 사용하지 말자는 건 아닙니다. 플라스틱이 꼭 필요하면 사용을 해야겠죠. 대신 분리배출을 잘하자입니다. 버린 쓰레기기는 언젠가 우리의 몸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천연자원은 이제 고갈 상태에 다다랐고요, 순환자원을 만들어서 사용 할 수밖에 없다는거죠 1회용 컵 줄이기 하자마자 1달 이내에 90% 이상의 시민들이 참여해주셨습니다. 지금 1회용 비닐봉투 지금 판매하지 않고 있잖아요? 대부분의 슈퍼마켓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이 어떤 것을 줄일지, 핵심을 정해서 가이드 라인을 만들어 준다면 시민참여는 충분히 빨리 이뤄질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10%의 플라스틱만이 재활용이 되고 나머지 90%는 행방불명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사용을 줄이지 못하는 것도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 달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정부차원에서 플라스틱 문제를 접근하고 플라스틱 관리방안을 만들어야 합니다. 분리배출의 60% 이상이 다시쓰레기로 나옵니다. 진짜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인지, 아닌지 구분하는게 어렵지 않아요 조금만 한번 더 생각하면 제로웨이스트 사회를 만드는 굉장히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전기차 이용을 망설이는 분들을 위해
다음글
설악산국립공원 직원들이 전하는 강원 산불 진화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