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검색
ENGLISH
이동통신누리집
환경부 유투브 채널 이동
환경부 인스타그램 이동
환경부 페이스북 채널 이동
환경부 트위터 채널 이동
환경부 블로그 채널 이동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개·비공개정보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목록
사전정보공표
행정정보공개
재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먹는물영업자 위반현황
환경영향평가
공공데이터개방
개방현황
개방신청
담당자 안내
감사·청렴마당
감사결과공개
감사·청렴활동 관련 규정
반부패 청렴 플랫폼
부패행위자 현황공개
적극행정
제도소개
적극행정 국민추천
소극행정신고
적극행정자료실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적극행정위원회 활동
적극행정 모니터링단 활동
정보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환경신문고
환경민원포털
안전신고
밀렵·밀거래신고
습지보호지역 위반행위 신고 포상제도
예산낭비신고
보조금 부조리 신고센터
질병에 걸린 야생동물 신고 제도
공직비리(부패)신고
공공분야 갑질피해 익명신고
공익신고
민원신청
일반민원(질의응답)
자주하는 질문
서식민원
서식자료
국민참여
장관과의 대화
국민제안
설문조사
정책토론
전자공청회
정부포상 추천대상자 공개검증
환경정책 공모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규제개혁신문고
바로가기
규제혁신추진단
바로가기
법령·정책
환경법령
현행법령
최근 제·개정법령
입법예고
행정예고
고시·훈령·예규
환경정책
전체
환경정책일반
환경보건
기후대기
물환경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자원순환
수자원
기타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발행물
환경 간행물
전체검색
환경통계연감
환경백서
대기환경월보
폐기물통계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수질통계
환경책자
알기쉬운 소책자
주제별
연도별
환경동화
환경 웹진
케미스토리
바로가기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바로가기
환경부 소식지 신청
바로가기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디지털 도서관
바로가기
기관소개
기관소개
환경부 장관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일반현황
연혁
상징(MI)
안내
조직 안내
업무 안내
층별 안내
찾아오시는 길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
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마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
공공데이터개방
감사·청렴마당
적극행정
국민소통
환경공익신고함
민원신청
국민참여
규제개혁
110화상·수화·채팅상담
법령·정책
환경법령
환경정책
발행물
환경 간행물
환경책자
환경동화
환경 웹진
알림·홍보
뉴스·공지
홍보자료
기관소개
일반현황
인사말
장관 소개
차관 소개
안내
알림·홍보
알림·홍보
뉴스·공지
공지·공고
보도·설명
채용공고
인사동정
입찰안내
홍보자료
영상자료
그림자료
홍보동영상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환경부
>
알림·홍보
>
홍보자료
>
영상자료
>
홍보동영상
검색
sns공유하기
공유하기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트위터에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에 공유하기
블로그에 공유하기
주소복사
인쇄
맨위로
게시물 조회
2020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안
등록자명
환경부
조회수
4,035
등록일자
2019-09-11
자막
2020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안 9조 3,561억원 편성 1.2020년 환경부 예산안 규모 -예산안 2019년:6조9,255억 2020년:8조4,002억(1조 4,747억 증액) -기금안 2019년:9,242억 2020년 9559억(317억원 증액) ■맑은 공기: 미세먼지 핵심 배출원 감축사업 확대 및 저감 가속화 1.노후 경유차: 가.조기폐차 2019년도 금액:1,206억 물량:15만대 2020년도 금액:2,896억 물량:30만대 (국고보조율) 50→60% 나.DPF 2019년도 금액:222억 물량:1.5만대 2020년도 금액:1,383억 물량:8만대 (지원단가) 296→346만원 2.건설기계 가.엔진교체 2019년도 금액:113억 물량:1,500대 2020년도 금액:990억 물량:10,000대 (자부담) 150만원→면제 나.DPF 2019년도 금액:95억 물량:1,895대 2020년도 금액:330억 물량:5,000대 (자부담) 100만원→면제 3.소규모사업장 방지시설 2019년도 금액:80억 물량:182개소 2020년도 금액:2,200억 물량:4,000개소 (자부담) 20→10% 4.가정용 저녹스보일러 2019년도 금액:24억 물량:3만대 2020년도 금액:510억 물량:35만대 (저소득층 지원단가) 20→50만원 5.LPG 화물차 신차구입 2019년도 금액:19억 물량:950대 2020년도 금액:200억 물량:10,000대 (지원단가) 변동 없음 전기차?수소차 및 충전 기반시설(인프라) 보급을 대폭 확대하여 미세먼지 대응 및 혁신성장 가속화 지원(’19년 0.7조→’20년 1.1조 원) * 전기차(’19년→’20년) : 승용 4.2→6.5만대, 화물 1→6천대, 급속충전 1.2→1.5천기 * 수소차(’19년→’20년) : 승용 4→10.1천대, 버스 35→180대, 충전 30→40개소 신규로 한?중 미세먼지 기술 엑스포 및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중국의 대기오염방지센터 협력연구를 추진하는 등 한?중 협력 내실화 * 기술 엑스포 5억 원, 심포지엄 3억 원, 대기오염방지센터 협력연구 4억 원 전국 지하역사(566개)에 자동측정망 설치를 완료하고, 지하역사?터널?열차 등에 대한 공기정화 사업을 본격 추진 * (자동측정망) ’20년까지 전국 모든 지하역사(566개)에 설치 완료 * (지하역사) 환기설비 92개 역사(335대), 공기정화설비 237개 역사(3,968대) * (터널) 집진시스템 61개 역사(187대) (차량) 공기정화설비 1,577량(5,032대) 2. [깨끗한 물] 상수원부터 수도꼭지까지 먹는물 공급 전과정 혁신 전국 지방상수도에 정보통신기술(ICT)?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하여 수질?수량을 실시간 자동 측정?감시하고 신속히 초동 대처하는 스마트 시스템 구축 * 스마트 지방상수도 지원(’20~’22, 총사업비 1.4조 원) : (’20년) 3,811억 원 수돗물 불신의 주요요인인 노후 상수도관 정비 확대 - 지방상수도는 기존 군에서 시지역까지 개량 지원하고 전국 노후관로 2만 8천km 대상(‘19~’22년) 정밀조사 실시 * 노후 상수도 정비 : (’19년) 2,359억 원 → (’20년) 4,680억 원 * 노후 상수관로 정밀조사 : (’20년) 66억 원 - 광역상수도는 정밀안전진단 결과 개량이 시급한 노후관을 신규로 개량에 착수하고 기존 계속사업들도 차질 없이 추진 * 수도권(Ⅰ) 광역상수도 노후관 개량 : (’20년 신규) 2억 원 현재 낙동강 수계 4개 지역의 지방상수도에 설치 중인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내년부터는 광역상수도에도 신규 4개소 도입 * 광역상수도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신규사업) : (’20년) 45억 원 상수원 보호를 위해 오염이 심각한 상류 지역에 비점오염 저감 시범사업 실시, 녹조 다발지역에는 사물인터넷 기반 감시시스템 신규 구축 * 상수원상류 유역거점형 오염저감 시범사업(신규사업) : (’20년) 36억 원 * 녹조 우심지역 오염원 관리체계 구축(신규사업) : (’20년) 24억 원 ①댐 안정성?치수능력 강화, ②산업단지완충저류시설 설치, ③광역상수도 복선화 등 재해?재난 및 사고예방 투자 확대 ① 댐 안정성?치수능력 강화 : (’19년) 421억 원 → (’20년) 708억 원 ② 산업단지 완충저류 시설 설치 : (’19년) 326억 원 → (’20년) 526억 원 ③ 광역상수도 복선화 : (’19년) 2개소 17억 원 → (’20년) 4개소 18억 원 수질오염 등에 대응하기 위한 노후 하?폐수 관로 정비 투자를 확대 * 노후 하수관로정비 : (’19년) 1,754억 원 → (’20년 계획) 3,138억 원 *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 : (’20년 계획) 159억 원 * 신업단지 노후 폐수관로 정비 : (’20년 계획) 21억 원 3. [화학물질] 중소기업의 제도이행 및 사업장 안전관리 지원 화학 물질?제품 안전관리 제도가 단순 규제가 아닌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중소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물질들을 대상으로 시급성에 따라 정부가 직접 유해성 정보를 생산?지원하고 등록?승인 전 과정을 지원 구 분 유해성 시험자료 생산?지원 (‘19년→‘20년) 등록 및 승인 전과정 지원 (‘19년→‘20년) 화학물질 유해성 시험자료 생산?지원:59종→500종(47억원→250억원) 60종→570종 (33억원→171억원) 살생물물질 14종→24종 (35억원→60억원) 10종→56종 (8억원→24억원) 중소기업에 대해 안전관리 자문(컨설팅) 제공확대(820→1,343개소) 및 장외영향평가서?위해관리계획서 작성 지원확대(200→500개소) * 중소규모사업장 안전진단 지원 : (’19년) 40억 원 → (’20년) 65억 원 4. [폐기물] 폐기물 처리 전 과정의 공공관리와 지원 강화 전국의 방치?불법투기?불법수출 폐기물을 조속히 처리하기 위한 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도 병행 추진 * 유해폐기물 처리 및 대집행 : (’19년) 109억 원 → (’20년) 288억 원 ①유해 폐기물(라돈?수은 등), ②불법 폐기물, ③재해?재난 폐기물 등의 안전하고 신속한 처리를 위한 국가광역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추진 * 국가광역 공공폐기물처리시설 구축(실태조사 및 기본구상) : (’20년 신규) 20억 원 재활용 활성화 및 자원순환사회 조기 구축을 위해 ①공공처리역량 강화, ②시장 활성화, ③감시?예방 체계 구축 및 ④연구개발(R&D) 확대 등 추진 ① 생활자원회수센터 : 124→197억 원, 재활용동네마당 : 13→15억 원 ② 재활용산업융자 : 1,284→1,634억 원, 업사이클센터 설치 : 2→11억 원 ③ 재활용품 비축사업(신규) : 104억 원 ④ 생활폐기물 재활용 연구개발(R&D) : (’19년) 76억 원 → (’20년) 111억 원
이전글
월간환경부 친환경추석보내기
다음글
환경 톡톡톡! 원기자가 간다! EP.15 멸종위기종 2급 소똥구리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