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체보기

자주찾는 메뉴메뉴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최대   6개   지정)

  • 정보공개
  • 국민소통
  • 법령·정책
  • 발행물
  • 알림·홍보
  • 기관소개

보도·설명

  • 홈으로
게시물 조회
'세계 물의 날' 『국민 건강 증진 물관리 종합시책』시행
  • 등록자명
    류성국
  • 부서명
    수도정책과
  • 조회수
    11,999
  • 등록일자
    2001-04-20
 ― 2005년까지 먹는물 수질기준을 선진국수준으로 강화
― 수돗물 생산공정 전과정 실시간 인터넷공개  
― 도심하천, 호소, 습지의 생태복원 및 자연학습장화
― 공공수처리 시설의 개방 및 근린공원화
정부는 다가오는 3월 22일「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국민건강
증진 및 친수환경 조성을 위한 물관리 종합시책'을 수립하고 이를 환
경부 등 물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6개 부·처 합동으로 적극 추
진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가 대책을 수립한 배경은 날로 오염돼가는 물로 인해 건강한
삶이 위협받고, 생활의 즐거움을 주는 물사랑 공간이 부족한 현실에
서 '물을 아끼고 사랑하는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고, 맑은 물을 공급하
기 위한 정부시책의 한단계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정부의 물관리 종합시책은 먹는물의 안전성 관리 강화, 상수도 및
물관련 시설 확충 개선, 하천생태계 보전, 호소 습지 연안환경 보전,
홍수방지 등을 포함한 10대 분야 50개 시책으로 나누어 추진된다.
정부는 소관부처별로 시책추진에 필요한 예산 및 세부추진계획을
마련 금년부터 관계부처간 유기적 협조하에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
이며, 추진상황을 점검하여 수범사례발굴 및 부진사업 지원대책 강구
등 사후관리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1. 국민건강 증진 분야(5대 과제)
먹는물 기준 및 수질환경 기준의 강화
수돗물 수질기준을 200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 (환경부)
- 미량유해물질 조사사업('89~2002, KIST) 등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
내 수계에서 검출되는 유해물질 등을 기준 항목으로 확대
· 수질기준항목 : 2000년 47개 → 2001년 55개 → 2005년 85개
지역별 수질 특성 및 수도사업자의 검사능력을 고려하여 지역별 먹
는물 수질기준 제도 도입(환경부)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돗물 공급 전과정의 수질감시 모니터링
망 구축 및 수질검사 결과 실시간 인터넷 공개(환경부)
해양환경의 효율적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현재 수질위주의 환경기
준을 생물·퇴적물을 포함한 종합적 해양환경기준 마련(해수부)
지하수수질보전계획 수립, 지하수 수질기준 신설 및 강화, 지하수
오염유발시설 관리 강화, 오염지하수 정화, 폐공원상복구사업 실시(환
경부, 건교부)
노후관 개량 및 물관련 시설 성능개선
선진국의 정수장 효율개선 기술을 적용,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 등
운영관리 미흡한 정수장에 대해 기술지원[2001년 40개 정수장](환경
부)
모든 국민이 원하는 상하수도 관련정보에 즉시 접근할 수 있는  
「실시간 정보공개(Water Now)시스템」 개발(환경부)
누수방지를 위한 노후 수도관 4만2천㎞ 개량사업에 2011년까지 3
조  8천억원 투자(환경부)
2004년까지 4천6백억원을 투자, 원수 수질이 나쁜 19개 정수장에
선진국형 고도정수처리시설〔오존처리시설 및 활성탄여과〕설치(환경
부)
맑은 물의 안정적 공급 및 급수취약지역 일소
급수난을 겪고 있는 농어촌 215개 면지역에 '94 ∼ 2004년간 8천억
원을 투자하여 상수도 보급율을 55%로 제고(환경부)
94개 미급수 도서지역에 '97~2005년간 2천2백억원을 투자, 수원지
및 해수담수화 시설 94개소 설치(환경부, 건교부)
21세기 물부족, 수자원 안보에 대비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중인 광역상수도 사업 조기 완료(건교부)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개발사업」과 연계하여 향후 10년내 국내
상하수도 기술수준을 세계 10위권으로 제고(환경부)
상하수도, 댐 등 물관련 시설의 효율적 관리
시민이 자주 이용하는 약수터의 수질을 분기별로 검사하고 검사결
과의 신속한 공개(환경부)
다목적댐과 발전용댐의 연계운영을 통하여 한정된 수자원의 공급
을 확대하고 효율적 운영체계 구축(건교부)
연근해 해양환경실태를 조사,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
초 자료로 활용하고, 해양환경측정망 인력 및 장비를 대폭 확충(해수
부)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 등 4대강 유역 오염총량관리제 실시
및 상수원 오염원 대한 24시간 자동감시체계 구축(환경부)
홍수대비능력 강화 및 재해시 비상급수체계 완비
대규모 홍수에 대비, 하천주변 유역에 대한 저류기능을 함께 고
려한 유역종합치수계획을 수립(건교부)
남북공유하천인 임진강에 대한 남북공동 수해방지사업 추진(건교
부)
재해시 비상급수를 위한 저수공간 확보 (환경부)
2. 친수환경 조성 분야(5대 과제)
도심하천의 생태복원 및 근린공원화
자연형 하천정화사업 및 하천생태계 복원사업 추진(행자부, 환경
부, 건교부)
오산천, 경안천, 경천에 약 6백억원을 투자하여 자연친화적 하천정
비사업을 추진(건교부)
소하천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정비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수립 추진(행자부)
호소·습지·연안해역의 자연학습장화
호소, 습지, 연안해역 등 생태적 보전가치가 있는 지역 무분별한
개발행위 억제(환경부)
호소, 습지, 연안해역을 생태관광 자원으로 육성(환경부, 해수부)
환경개선·연안훼손 방지사업 등 연안정비 10개년 계획을 수립하
여 2000 ∼ 2019년간 9,763억원 투자(해수부)
공공 수처리시설 개방 및 친환경적 이용 확대
도심지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탈취시설, 공원화, 체육시
설등을 확보하여 지역 주민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주민친화 시설
로 전환(환경부)
폐·하수 처리수의 환경적 재이용으로 하천 생태계 복원과 각종 용
수로 활용(환경부)
※ '99년 기준 150개소 하수처리장에서 연간 약 64.6억톤의 처리수중
2.5%인 약 1.6억톤을 대부분 처리장내의 세정수 등에 재이용
약수터, 온천 등 친수·휴양공간 정비
국민생활과 밀접한 약수터등 먹는물 공동시설 주기적 청소 및 정비
- 2001. 3. 22 세계 물의 날 먹는물공동시설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대
청소 실시와 지속적 확충(환경부)
온천자원의 과학적 보호·관리와 환경친화적 개발·이용도모(행자
부)
- 2000년말 현재 온천지구 : 109개지구(이용중 42, 개발중 67)
Eco Water Tour 등 친수 관광자원 개발 및 활성화
물 홍보관, 정수장, 하수처리장, 환경관리 모범업소 등 하천 물관
련 시설을 연계한 Water Tour 프로그램 개발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
(환경부)
댐주변의 아름다운 경관 및 저수지를 활용한 환경친화적 관광·문
화사업 기반시설 적극 조성(건교부)
목록